AWS Summit Enterprise korea
13 Oct 2016AWS Summit Enterprise korea, 광화문 포시즌스 호텔
소감
-
이제까지 일반적으로 생각하던 스타트업 혹은 작은 규모에서의 AWS사용 뿐 아니라, 대규모의 환경에서에서 사용 사례와 방안을 제시하여 좀 더 고객을 끌어들이려는 의도
-
실제로 이미 알려진 회사들 말고도 의외로 많이 쓰고 있었음. 특히 금융권까지..
-
비용 측면 뿐 아니라, 조직 개선, 혁신 측면에서도 AWS를 선택하라고 하는 달콤한 속삭임(?)
-
On-premise 보다는 당연히 클라우드가 저렴하고, 당연히 더 신속하고, 유연한 구조를 가질 수 밖에 없다. 클라우드 도입의 당위성은 그걸로는 부족하니 조직 문화적인 측면(혁신, 조직 개선…)으로 고객의 성공을 돕겠다는 전략.
-
기존 환경에서의 마이그레이션을 위한 방법론, 조직(CoE), 경험까지 서서히 채워져 가는 듯 하다
-
개발자 입장에서는 enterprise 관련 행사보다는 startup쪽이나, 좀 더 기술적인 행사들이 좋을 듯.
오전 세션
소개
염동훈 대표
엔터프라이즈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AWS소개
amazon aurora - 오픈소스만큼의 저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db
amazon X1 instance + sap hana - 인메모리 애플리케이션 용으로 쓸수 있는 별도 인스턴스를 런칭
amazon workspace - 기업용 VDI솔루션, 운영하지 않고 사용하는 만큼만 과금
AWS Iot - 많은 수의 메세징 처리를 빠르게 수행할 수 있는 플랫폼 제공
Amazon EC2 P2 Instance - 고성능 컴퓨팅 프로세스, 딥러닝, 머신러닝 등 병렬처리를 위한 인스턴스(아직 서울 리전에는 없다고 합니다.)
클라우드 보안 서비스 - 아무래도 오랫동안 써 오고 있던 부분이니.. 좀 더 안전하겠죠.. 물론 사용자가 안전(?) 하게 써야겠지만.
매년 11월 말 라스베가스에서 AWS reInvent 행사를 진행하고, AWS에 올라가는 신기술들을 소개하는데, 실시간으로 진행하기도 하지만, 내년에 서울에서 recap등의 행사를 할 수도 있다고..
엔터프라이즈 IT의 미래
Stephen Orban
devops - 빈번한 delivery - 고객에게 신속하게 전달 - 피드백을 통한 서비스 보완
기본 IT 조직에서 AWS로 이전함으로써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설명
클라우드 프로젝트의 종류
- 신규 개발, 하드웨어 리뉴얼(IaaS), 서비스 현대화(Legacy환경을 신규환경으로?), 데스크탑 가상화(VDI)
Cloud Center of Experience(CoE)의 중요성 - CoE를 통해 클라우드를 기업에 도입하고 확산할 수 있다고 합니다.
AWS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비용 계산은??? 정확히 비용을 비교할 수 있을지?
대용량 이전 도구 - AWS snowball, AWS Database migration
클라우드 퍼스트 전략 - 고객에게 실제 사업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 줌.
https://medium.com/@stephenorban
스마트 TV플랫폼 활용 사례
LG클라우드 센터
도입 이유 - 스마트 TV(Client)의 지속적인 증가, 인프라 비용의 지속적인 증가. 150여개국, 3,500만대 서비스 중 , 비용 효과적, 안정적 서비스 제공의 필요성
글로벌 퍼블릭 클라우드로 이동 AWS선택 이유 - 사용량 기반의 과금 절감, 동적인 자원 확장, 보안, 기존 서비스 무중단 이전(???)
기존 대비 운영비용 40% 절감
앞으로의 계획
- Serverless 아키텍처, LAMBDA + API gateway 등의 기술도 검토 중
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의 AWS적용에 의구심이 있으나, 비즈니스의 확장에 따라 민첩한 적용은 필요….
신한은행 활용 사례
2006년 - 신한 조흥 통합, Unix 기반 차세대 시스템 구축 2013년 - 용인 죽전에 데이터센터 구축 2015년 - 써니뱅크, 모바일 창구
북미 인터넷 뱅킹용으로 사용 - 웹 서버를 AWS를 이용해 현지에 설치
기존 IDC운영 대비 50% 비용 절감
오후 세션
클라우드 도입과 전략
클라우드의 진화 방향
- 완전 관리되는 서비스/Serverless Computing/IoT,Bigdata,Mobile 등으로의 플랫폼 혁신
클라우드를 통한 비용 절감을 IT혁신을 위해 투자하라.
클라우드 적용 대상 및 접근 전략
- 기업용 어플리케이션(Sharepoint, MS Exchange, SAP)
- 데스크탑 가상화
- IaaS
- 비즈니스 어플리케이션- web, mobile app, commerce system
CAF 클라우드 도입 프레임워크 - 전략, 도구, 방법론 등
이랜드 도입 사례
온 오프 통합 비즈니스 플랫폼 + 자원 사용 변동폭이 큰 온라인 비즈니스의 경우 AWS 사용기
IDC와의 연동, 서비스 outbound 비용 고려 –> 기존 쇼핑몰의 1/3 수준으로 안정성/성능 검증 완료, 50% 정도 비용 절감.
direct connect - on promise 환경과 바로 연결해주는 aws 구성요소
고객 관점 - 신속한 IT환경 구축, 매출 증대, 온라인 쇼핑몰에 적합한 아키텍처 IT조직 관점 - 아키텍처 역량 강화 선제적 대응, CoE
빅데이터 워크로드를 위한 AWS
김기완 솔루션 아키텍트
amazon fullfillment center, 키바(?)가 움직여서 짐을 옮기고 가져다 줌.
direct connect - 1G, 10G로 고객의 데이터센터(IDC)와 AWS의 region을 연결함
AWS 빅데이터 서비스, AWS IoT 서비스
데이터 온도 - 캐쉬, 파일, 빈번하게 참고되는 정도=온도
배치 + 실시간 + 예측(딥러닝)
하이브리드 클라우드 인프라를 통한 데이터센터 확장과 마이그레이션 방안
조성진(sales manager)
엔터프라이즈 환경을 그대로 옮기기 힘들어지므로, 인프라 환경을 AWS와 하이브리드로 구성하는 방안을 제시.
-
IDC와 AWS를 연결하는 방법
- 전용선(DirectConnect)
- IPSEC VPN
- 위의 둘을 혼용 가능
클라우드 운영 - CCoE, Cloud OPS, Cloud MSP -
이원일(컨설팅)
클라우드 도입 단계 - 캐즘(?) - Early Adaptor 와 Early Majority간의 차이점. -> 클라우드 도입 단계에서도 이런 현상이 보임.
70%-20% 도입단계에서 긴 정체기, 10%는 적극 사용, 20%는 사용 포기
캐즘의 증상 - 낮은 사용성, 비용 통제 부족, 정체, 개발과 프로덕션 불일치 등등등
Cloud CoE를 통해 이런 난관을 극복해야 함. - 자문팀 or 실행팀
ex)
실제 도입 사례를 보면, 상황에 따라 CoE의 형태는 다르다.
노드스톰의 CoE - 4명(자문팀), 50개 서비스팀을 자문.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한 단일 창구 역할, 네트워크 구성, 서비스 아키텍처 등의 모범사례를 교육
노트르담 대학 CoE - 25명(실행팀), 개별 서비스팀과 함께 클라우드 마이그레이션 수행, 기존 인력 재배치하여 구성함. 클라우드와 관련된 모든 일을 결정하고 수행
클라우드를 도입하기로 했다면
- 도입 목표, 도입 대상을 설정하고 관리해야 함.
이후 이전방안, 운영방안을 결정해야 함. 기존 On-premise -> AWS로 이동하면서 변경되어야 할 형태임. 이후 운영시의 IT조직과의 역할, Hybrid IT 운영 조직